국제 일반

러 드론 몇 대에 전투기 띄운다고?…스웨덴, 초저가 요격 미사일 개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전투기 요격 대비 1만6000분의 1 비용…공항 상공 드론 위협에 유럽도 주목

확대보기
▲ 스웨덴 노르딕 에어 디펜스(NAD)가 개발 중인 소형 요격 미사일 발사 장치에서 차량 탑재형으로 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을 담은 CGI 영상. 사진=NAD


러시아 드론이 잇따라 유럽 공항 상공에 출몰하자 스웨덴이 충돌 방식으로 드론을 격추하는 저가형 미사일 체계를 내놨다. 기존 전투기 요격 방식보다 비용이 약 1만6000분의 1에 불과하며 민간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4일(현지시간) 스톡홀름에 본사를 둔 노르딕 에어 디펜스(NAD)가 ‘크뢰거 100’이라는 신형 소형 미사일 요격체계를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체계는 유럽 전역에서 드론 대응 방식을 바꿀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이 미사일은 폭발물이 아닌 적외선 센서와 전기 추진력을 이용해 적 드론에 직접 충돌한다. 파편이나 폭발 위험이 없어 공항이나 발전소 같은 민감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항에 폭발물 못 쏜다”…1발 5000달러로 전투기 대체칼 로산데르 NAD 최고경영자(CEO)는 “공항 상공에서 폭발물을 발사할 수 없다”며 “우리는 전기식 비폭발형 요격체계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도 민간 환경에서 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는 지난달 폴란드 상공에서 러시아 드론을 요격할 때 F-15와 F-35 전투기를 투입했다. 1회 출격 비용이 수백만 달러에 이르는 전투기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크뢰거 100의 예상 단가(5000달러·약 704만 원)는 러시아제 소형 드론(약 1000파운드·189만 원)보다는 여전히 비싸다. 그런데도 전투기와 미사일을 동원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비용 효율은 압도적이다.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은 “수천 달러짜리 드론을 수십만~백만 달러짜리 미사일로 요격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경고했다.

FPV 자폭 드론도 요격…전장 활용도 기대

확대보기
▲ 스웨덴 노르딕 에어 디펜스(NAD)가 개발 중인 소형 요격 미사일은 휴대용 캐논 형태 발사기로도 운용할 수 있다. 사진=NAD




확대보기
▲ 스웨덴 노르딕 에어 디펜스(NAD)가 개발 중인 소형 요격 미사일은 발사함(런치 크레이트) 방식으로도 운용할 수 있다. 사진=NAD


크뢰거 100은 공항뿐 아니라 전장에서도 쓸 수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선처럼 일인칭 시점(FPV) 자폭 드론이 차량이나 병력을 기습 공격하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NAD가 공개한 CG 영상에는 수송 차량이 이동 중 적 FPV 드론 두 기가 접근하자 차량에 장착된 소형 미사일 발사기가 이를 요격하는 장면이 담겼다.

발사 방식은 휴대용 캐논형이나 소총형, 발사함, 차량 탑재형 등으로 다양하다. 민간과 군 모두가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EU, ‘드론 장벽’ 논의 본격화

확대보기
▲ 2024년 2월 독일 뮌헨 국제공항 파업 당시 이착륙이 중단된 루프트한자 항공기들. 2025년 10월 3일 밤에도 드론 출현 신고로 공항이 폐쇄되며 항공편 30여 편이 취소되고 약 3000명이 발이 묶였다. AFP 연합뉴스


최근 덴마크와 노르웨이, 독일에서 러시아 드론이 공항과 중요 시설 상공에 잇따라 출몰하면서 유럽연합(EU)이 방어망 구축에 나섰다. 지난주에는 뮌헨 공항이 드론 출현으로 야간에 폐쇄돼 10여 편의 항공편이 결항·지연됐다.

EU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국경을 따라 레이더와 대공 시스템을 연결한 ‘드론 월’(Drone Wall) 구축을 추진한다. 우크라이나와 발트·북유럽 국가들이 회의에 참여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유럽의 드론 방어 역량과 생산력을 강화해 외부 침입을 차단할 네트워크를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유럽이 하나의 기술 표준에 합의하고 동유럽 국가 모두가 정치적으로 결속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EU 내부에서 띄운 드론은 막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독일은 교전규칙 개정…덴마크는 민간 드론 전면 금지EU 차원의 논의와 별도로 각국 정부도 대응책을 추진하고 있다. 독일은 중요 기반 시설을 위협하는 드론을 군이 즉시 격추할 수 있도록 교전규칙을 바꾸려 한다. 덴마크는 유럽 정상회의 기간 코펜하겐 상공의 민간 드론을 전면 금지했다.

전파 교란 장비(재밍)도 활용 가능하지만 현 장비는 작동 범위가 짧아 보완이 필요하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얼음뿐인 남극의 텐트 안에서 성폭행…이례적 사건 결말은?
  • “악마를 보았다”…22년간 딸 감금·성폭행, 자녀 3명 출산
  • “한국, 일본에 버릇없이 굴잖아”…日 유력 차기 총리의 인식
  • ‘트럼프 거짓말’ 폭로한 일본…“투자금 5500억 달러 아냐
  • ‘찰칵’ 피 흘리는 사람 앞에서 스마트폰 촬영만…충격적인 시
  • (영상) 중국, UFO 감췄나…“中 미사일이 미확인비행물체
  • “부부관계 질문금지”…떨어져 살수없는 쌍둥이 자매의 속사정은
  • “이재명이 트럼프 속이고 시민들 위협”…美 언론 기고문, 작
  • 기우뚱하더니 ‘와르르’…美 화물선 컨테이너 67개 바다로 추
  • “여기가 북한이냐?”…연방 건물에 걸린 ‘트럼프 얼굴’ 대형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