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포착

[포착] 무언의 경고장?…美 B-52H, 러 ‘포세이돈’에 스텔스 핵미사일로 응수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러 ‘부레베스트니크·포세이돈’ 공개 직후…美, 핵전력 세대교체 신호

확대보기
▲ 미국 공군 B-52H 전략폭격기가 차세대 스텔스 AGM-181A 장거리 스탠드오프(LRSO) 핵순항미사일로 추정되는 무장을 장착한 채 비행하고 있다. 사진=이안 레키오(@lookunderocks)


미국 공군의 B-52H 스트래토포트리스 전략폭격기가 차세대 스텔스 핵순항미사일 추정체를 장착하고 시험 비행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러시아가 핵추진 순항미사일과 자율무인 핵어뢰를 잇따라 과시하자, 미국이 ‘무언의 경고’에 나선 정황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확인 무장 2기”…B-52H 외부 장착 장면 공개

확대보기
▲ 미국 공군 B-52H 전략폭격기 우측 날개 아래에 장착된 시험 무장들이 포착됐다.
밝은 회색의 두 기체는 차세대 스텔스 핵순항미사일 LRSO(AGM-181A) 시험체로 추정되며 그 위쪽 짙은 회색 무장은 장착 안정성 검증용 더미 탄체로 보인다. 사진=이안 레키오(@lookunderocks)


항공 전문 매체 더 에비에이셔니스트는 4일(현지시간) “미국 공군의 B-52H가 외부 무장창에 정체불명의 무장 2기를 매단 채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사진은 항공사진작가 이안 레키오가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lookunderocks)에 게시했으며, 이후 디펜스 블로그와 아미 레커그니션, 우크라이나 밀리타르니, 디펜스 익스프레스 등 주요 군사 전문 매체가 잇따라 인용·분석했다.

외신들은 “기체가 시험용 주황색 마킹을 적용한 상태에서 비행했으며 외부 장착대에 미확인 무장 2기가 달려 있었다”고 전했다.

“형상, LRSO와 거의 일치”…美 차세대 핵순항미사일 가능성촬영된 무장은 역(逆) T자형 꼬리날개와 접이식 날개, 쐐기형 노즈·테일 구조를 갖추고 있다.



확대보기
▲ 미 공군이 2025년 6월 공개한 차세대 스텔스 핵순항미사일 LRSO(AGM-181A) 렌더링 이미지. 실제 B-52H 시험 비행에서 관측된 옅은 회색 무장 두 기가 이 형상과 거의 일치한다. 사진=미 공군


외신들은 이런 형상이 미국이 개발 중인 차세대 스텔스 AGM-181A 장거리 스탠드오프(LRSO) 핵순항미사일의 공개 이미지와 거의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디펜스 블로그는 “LRSO로 보이는 시험 장면이 포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비공식 노출이지만 핵전력 현대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아미 레커그니션은 “사진 속 장착 형태가 완전무장 탑재가 아닌 ‘장착 비행시험’(캐리지 테스트) 단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시험은 실제 무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비행 안정성과 결합 구조를 검증하는 절차로 발사 이전 단계에서 기체와 무장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러시아 ‘포세이돈·부레베스트니크’ 공개 직후…“조용한 맞대응”

확대보기
▲ 러시아가 공개한 핵추진 순항미사일 ‘부레베스트니크’(나토명 스카이폴)의 시험 발사 장면. 이번 발사는 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에서 캡처된 것으로, 극지 시험장에서 실시된 장거리 비행 시험으로 알려졌다. 사진=러시아 국방부




확대보기
▲ 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핵추진 자율무인어뢰 ‘포세이돈’의 시험 장면. 사진은 핵추진 시스템 점검 중인 포세이돈 본체로, 러시아 국방부 영상에서 캡처됐다. 사진=러시아 국방부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이번 장면이 러시아가 신형 핵무기 2종인 부레베스트니크 순항미사일과 하바롭스크급 핵잠수함에서 발사하는 드론형 핵어뢰 포세이돈을 공개한 직후 촬영된 점에 주목했다.

러시아는 최근 극지 시험장에서 부레베스트니크 시험 성공과 포세이돈 실전 배치 영상을 잇따라 공개했다.

매체는 “미국이 러시아의 ‘기적의 무기’ 선전에 맞대응하듯 조용한 방식으로 자국의 전략 전력을 드러냈다”며 “B-52H가 의도적으로 항공팬들이 자주 관측하는 항로를 비행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LRSO, “핵전용 스텔스 순항미사일”LRSO는 노후한 AGM-86B 공중발사순항미사일(ALCM)을 대체하기 위해 2020년부터 개발에 착수했다. 주계약자는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현 RTX)다.

이 미사일은 W80-4 열핵탄두를 탑재하며, 스텔스형 저피탐 설계를 적용했다.



확대보기
▲ 미국 공군의 차세대 스텔스 전략폭격기 B-21 ‘레이더’가 시험 비행 중인 모습. B-21은 LRSO(장거리 스탠드오프 핵순항미사일)의 주요 운용 플랫폼으로 설계됐다. 사진=미 공군


현재 미 공군은 B-52H를 중심으로 시험을 진행 중이며 차세대 스텔스폭격기 B-21 ‘레이더’에도 통합할 예정이다.

LRSO는 핵전용 무기로만 설계돼 재래식(일반폭약) 운용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 공군은 2022년까지 최소 9차례의 시험 비행과 분리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 포착이 사실이라면 LRSO가 본격적인 실비행 단계에 들어섰을 가능성이 크다.

공식 입장 없어도…핵전력 현대화 신호는 분명미 국방부는 이번 시험비행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복수의 군사 전문 매체는 이번 장면을 LRSO 시험이 진전되고 미 공군의 핵전력 현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했다.

특히 러시아의 신형 핵무기 공개 직후 이런 장면이 포착된 점에서, 미·러 간 핵억제 경쟁이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한 달에 400회 성매매 강요한 점주…“못생겨서 매상 안 올
  • “억만장자 남친 필요 없다”…노출 없이 1000억 번 21세
  • “만지긴 했는데 발기부전이라”…1~2세 여아 성 학대한 60
  • 대통령 사임 촉구 시위서 총성, 힙합 가수 사망…Z세대 분노
  • 일본은 2박 3일인데…‘트럼프 APEC 불참’ 가능성 나온
  • 트럼프 韓 핵잠 건조 승인에…美 유력 군사 매체 “사실상 개
  • “땀에 젖고 횡설수설”…트럼프 ‘60분’ 인터뷰 후 건강 이
  • (영상) 간만 쏙 빼먹었다…범고래, 최강 포식자 백상아리 사
  • 트럼프 볼까 봐…美 항모 트루먼 호, 파손 부위 못 고치고
  • 하루 만에 말 바꾼 미국?…“한국, 반도체·농산물 완전 개방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