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백악관 금칠도 모자라…트럼프, 내셔널몰까지 손댄다 [핫이슈]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워싱턴 DC 다시 아름답게’ 내세워, 반사연못 개보수 예고에 논란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추수감사절 칠면조 사면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게시물로, 링컨기념관 앞 반사연못의 영상을 공유하며 “더그 버검 내무장관과 내가 고치기 전의 모습이다. 곧 이 바이든식 오물과 무능함은 사라질 것”이라고 적었다. 2025.11.26 트루스 소셜·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중심부, 내셔널몰 서쪽 끝 링컨기념관 앞에 있는 반사연못을 개보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곳이 오물로 덮였다”며 “내무장관과 함께 깨끗하고 아름다운 공간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데일리비스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링컨기념관 앞 반사연못을 항공 촬영한 약 20초 분량 영상을 올렸다.

영상은 연못 바닥에 퍼진 녹조와 침전물을 클로즈업해 보여줬고 화면에는 ‘워싱턴 DC 다시 아름답게’(Making DC Beautiful Again)라는 자막이 함께 등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것이 우리가 수리하기 전의 모습이다. 곧 바이든식 오물과 무능함은 사라질 것”이라고 적었다.

배경음악으로는 성악가 안드레아 보첼리의 ‘타임 투 세이 굿바이’가 깔려 마치 퇴장을 예고하는 듯한 연출 효과를 더했다.

전문가들은 이 연못이 1923년 완공된 유서 깊은 시설로 특정 정권이 만든 것이 아니라 워싱턴 기념탑과 링컨기념관을 반사하도록 설계된 국가 상징물이라고 말한다. 최근 항공 촬영 사진은 바닥에 이끼와 침전물이 쌓인 모습을 포착했다.

‘황금 집무실’ 이어 내셔널몰까지…트럼프식 재단장 본격화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뉴욕시장 당선인 조란 맘다니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에는 ‘황금 장식’으로 재단장된 오벌오피스 내부가 함께 보인다. 2025.11.21 AP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이후 백악관 곳곳을 자신의 취향으로 바꾸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마가·MAGA) 스타일의 재단장을 이어왔다.

그는 집무실을 황금 장식과 트로피로 채웠고 동쪽 별관은 철거해 대형 연회장을 새로 만들었다.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추수감사절 행사로 진행된 ‘고블’이라는 이름의 칠면조를 사면하기 전 발언하고 있다. 이 행사는 1989년 조지 H.W. 부시 대통령 시절 시작된 백악관의 연례 전통이다. 2025.11.25 EPA 연합뉴스


로즈가든은 플로리다 개인 별장 ‘마러라고’의 파티장처럼 포장했고 ‘대통령 명예의 거리’를 설치해 금빛 액자와 사인 간판으로 꾸몄다.

이 밖에도 백악관 정원에 거대한 성조기 기둥 두 개를 세우고 링컨 침실 욕실의 녹색 타일을 대리석으로 교체했으며 고목 수십 그루를 베어냈다.

최근에는 버지니아 방향 입구에 ‘트럼프 개선문’(Arc de Trump) 건립을 승인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내무부 “워싱턴 재정비 동참”…공식 지원 시사내셔널몰을 관리하는 미국 내무부도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동의하는 입장을 밝혔다.

더그 버검 내무장관은 “워싱턴을 다시 아름답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목적으로 이번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대통령 개인의 구상에 그치지 않고 정부 예산이 투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역사적 유산 훼손 우려” 비판도

확대보기
▲ 워싱턴DC 내셔널몰 서쪽 끝에 자리한 링컨기념관과 그 앞의 반사연못이 워싱턴기념탑과 일직선으로 이어진 모습이 한눈에 보인다. 사진은 포토맥강과 메모리얼 브리지를 함께 담은 항공 전경. 미 국립공원관리청 제공


미국 언론과 전문가들은 “역사적 공간을 정치적 상징물로 변질시키는 행위”라며 비판을 제기했다.

특히 반사연못은 100년 넘는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 만큼 무분별한 재설계가 문화유산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일각에서는 “주택난·물가·복지 등 시급한 현안을 두고 대통령이 경관사업에 몰두하고 있다”며 행정 우선순위의 문제를 지적했다.

“백악관 금칠 이어…‘워싱턴 황금화’ 어디까지”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설계나 완공 시점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과거 사례로 미뤄볼 때 단순한 보수가 아닌 대대적 구조 변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계획이 실제로 내셔널몰의 경관을 얼마나 바꾸게 될지 시민단체와 의회의 반응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UAE에 자리 뺏기나”…인도네시아 언론 “KF-21 사업서
  • “중국인이 안심하고 성매매하는 일본”…日 총리 지적에 네티즌
  • 400억짜리 ‘암살 드론’을 한국에 고의로 추락시킨 미군,
  • “만지긴 했는데 발기부전이라”…1~2세 여아 성 학대한 60
  • 英 스쿠버다이버, 잠수함 탐지하는 러 사용 추정 ‘소노부이’
  • 잠수함 어뢰 한 방에 ‘쾅’…나토, 피격돼 침몰하는 군함 영
  • “카바예바 없을 때 불렀다”…푸틴, 17세 모델과 ‘비밀 접
  • (영상) 간만 쏙 빼먹었다…범고래, 최강 포식자 백상아리 사
  • 28세 백악관 대변인, 60세 남편 고백…“엄마보다 나이 많
  • 트럼프 韓 핵잠 건조 승인에…美 유력 군사 매체 “사실상 개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