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연구 “부모의 외도 경험한 자녀, 정서적 거리감 크고 친밀감 낮을수록 외도 성향 높아”
불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심리·가정적 요인이 실험적으로 규명됐다. 튀르키예 코치대 연구진은 과거 연애 중 바람을 피운 적이 있거나 부모 중 한쪽이 불륜을 저질렀으며 정서적·육체적 친밀감이 낮고 감정적 회피 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외도 의향이 강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심리상담 전문 학술지 ‘패밀리 저널’(The Family Jour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불륜은 대물림된다”…가정환경이 연애 인식에 영향연구진은 18~30세 미혼 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부모의 불륜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이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스스로 외도를 고려할 가능성이 현저히 컸다.
연구자인 에즈라 셀알마즈 임상심리학자는 “청소년기에 부모의 배신을 목격한 경험은 신뢰와 헌신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다”며 “이른바 ‘세대 간 불륜 전이’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감정 회피·친밀감 결핍, 불륜 의향 높인다응답자 중 과거 연인에게 바람을 피운 적이 있는 사람은 이후 관계에서도 같은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가장 컸다. 연구진은 “이전의 외도 경험이 새로운 관계에서도 ‘통제 전략’처럼 작동한다”며 “자신의 의존이나 상처받을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무의식적 회피 행동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정서적·성적 친밀감이 낮을수록 불륜 가능성이 커졌다. 에르뎀 교수는 “현재 관계에서 친밀감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외도 의향은 현저히 줄어든다”며 “감정적 거리감은 외부에서 새로운 유대감을 찾으려는 욕구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과거는 경고 신호일 뿐…치료 통해 관계 회복 가능”
연구진은 “과거 불륜 경험이나 부모의 외도는 ‘운명’이 아니라 경고 신호”라며 “상담과 성찰을 통해 친밀감을 회복하면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에르뎀 교수는 “불륜은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관계 내 숨은 결핍의 ‘증상’으로 볼 수 있다”며 “커플 치료 과정에서 신뢰 회복과 감정적 유대의 재구성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 조언 “불륜 예방엔 ‘관계 강화’가 핵심”
별도의 캐나다 뉴브런즈윅대 연구는 불륜 유혹을 막기 위한 행동 전략으로 ▲‘관계 강화’(데이트·외모 관리·성적 교감 확대) ▲‘유혹 회피’(물리적·대화적 거리두기) ▲‘유혹 폄하’(상대에 대한 죄책감·부정적 인식)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이런 전술들은 외도 빈도를 낮추지 못했다”며 “결국 핵심은 파트너와의 지속적 소통과 친밀감 강화”라고 결론지었다.
[불륜 가능성 높이는 4대 경고 신호]*과거 연애 중 외도 경험이 있다
*부모 중 한쪽이 불륜을 저질렀다
*감정적 회피 성향이 강하다
*정서적·성적 친밀감이 낮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