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뒤뚱뒤뚱 움직이네…이스터섬 ‘모아이 석상’ 걸어서 이동했다 [핵잼 사이언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밧줄을 이용해 모아이 석상 복제품을 옮기는 모습. 빙엄턴대학 제공


신비로운 이스터섬 ‘모아이’의 비밀이 또 한 꺼풀 벗겨졌다. 최근 미국 뉴욕주 빙엄턴대학 등 공동 연구팀은 모아이 석상 운반의 비밀을 밝힌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고고학 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최신 호에 발표했다.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모아이는 사람 얼굴을 한 거대 석상으로 약 1000개가 섬 전체 곳곳에 늘어서 있다. 그간 현대의 연구진들을 의아하게 만든 모아이의 비밀 중 하나는 원주민들이 어떻게 이 무거운 석상을 화산 채석장에서 최대 수십 ㎞나 떨어진 곳까지 운반할 수 있었는지였다. 실제 모아이 석상의 무게는 40∼50t에 달하며 제작 시기는 13~16세기다. 이에 대해 원주민들 사이에서는 모아이가 채석장에서 제단으로 걸어서 이동했다는 황당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확대보기
▲ 실험 영상의 일부


이번에 연구팀은 3D 모델링과 실제 실험을 결합해 모아이가 실제로 ‘걸어갔다’는 것을 증명했다. 물론 스스로 걸어간 것이 아니라 사람이 밧줄로 뒤뚱뒤뚱 걸어가듯 이동시킨 것이다. 연구팀은 4.35t짜리 모아이 복제품을 만들어 총 18명이 단 40분 만에 100m를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모아이 머리에 3개의 밧줄을 묶고 양쪽에서 앞뒤로 당기면 모아이가 뒤뚱거리며 앞으로 걸어가기 때문이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칼 리포 교수는 “일단 모아이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다”면서 “에너지도 절약하고 정말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길 또한 4.5m 폭에 오목한 횡단면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면서 “모아이가 걸어가는 동안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특별히 건설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확대보기
▲ 이스터섬의 모습. contains modified Copernicus Sentinel data (2019), processed by ESA, CC BY-SA 3.0 IGO


한편 화산폭발로 생성된 이스터섬은 전체 면적이 163.6㎢로 서울 면적의 4분의 1 정도다. 남미 서해안에서 무려 3500㎞ 떨어진 곳에 있어 세계에서 가장 외진 섬으로 꼽히며 원주민 사이에서는 라파누이(Rapa Nui)로 불렸다. 태평양 외진 곳에서 그들만의 문명을 일구며 평화롭게 살아가던 라파누이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1722년 부활절로 이런 이유로 섬의 이름은 이스터(Easter)가 됐다. 당시 네덜란드인들은 이 땅에 처음 발을 내디디며 수백개의 모아이와 1500~3000명의 원주민이 살고 있다고 세상에 처음 알렸다. 이후 이스터섬은 찬란하게 꽃핀 문명을 뒤로하고 수백 년 만에 몰락의 길을 걸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믿을 경찰 없다”…엄마 앞에서 10대 딸 집단 성폭행한 경
  • ‘트럼프 거짓말’ 폭로한 일본…“투자금 5500억 달러 아냐
  • 대통령 사임 촉구 시위서 총성, 힙합 가수 사망…Z세대 분노
  • “이재명이 트럼프 속이고 시민들 위협”…美 언론 기고문, 작
  • 일본은 2박 3일인데…‘트럼프 APEC 불참’ 가능성 나온
  • “푸틴도 못 지켜” 아사드 전 대통령, 독살 시도로 쓰러져
  • ‘한국이 기어오른다’라던 日 극우 총리 후보, 이번엔 ‘트럼
  • 조국은 전쟁 중인데…우크라 유튜버 3인, 후쿠시마서 방송하다
  • 트럼프 볼까 봐…美 항모 트루먼 호, 파손 부위 못 고치고
  • ‘중국인 용의자들’ 사진 공개…이 대통령, ‘캄보디아 사망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