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트럼프 “반역은 사형감”…AI로 만든 ‘철창 속 의원’ 이미지 공유 논란 [핫이슈]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민주당 의원 6명 향해 “불법 명령 거부하라” 영상에 격앙 반응
Q애넌식 ‘딥스테이트 파괴’·‘틱톡’ 문구까지 트루스소셜에 등장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메린원(대통령 전용 헬기)을 타고 앤드루스 합동기지로 이동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된 영상을 공유하며 민주당 의원 6명을 ‘철창 뒤에 가둔 모습’으로 묘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영상에는 “반역적 행위는 사형에 처할 수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발언과 맞물린 문구들이 함께 등장했다.

미국 매체 데일리비스트는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AI로 제작된 영상과 이미지를 연달아 올리며 자신의 극단적 발언을 정당화하려 했다”고 보도했다.

‘불법 명령 거부하라’ 영상, 트럼프 자극했다논란의 발단은 민주당 의원 6명이 공개한 영상이었다. 엘리사 슬로트킨, 마크 켈리, 크리시 훌라한, 크리스 델루지오, 매기 굿랜더, 제이슨 크로우 의원 등은 모두 군·정보기관 출신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군사 작전과 법적 논란을 지적하며 군과 정보요원에게 ‘불법 명령을 거부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헌법을 위반하는 명령은 따를 필요가 없다”며 “우리 헌법에 대한 위협은 외부가 아닌 국내에서 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가 카리브해 지역 마약 조직을 겨냥한 군사작전으로 민간인 피해를 낳았다는 논란이 제기된 시점에 나왔다.

“반역적 행위, 사형감”… 트럼프의 격앙된 반응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반역적 행위는 사형에 처할 수 있다”(SEDITIOUS BEHAVIOR, punishable by DEATH!)라는 문구를 올렸다. 게시물은 논란이 된 민주당 의원들의 ‘불법 명령 거부’ 발언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트루스소셜 캡처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는 반역적 행위이며 법적으로 사형에 처할 수 있다”고 격앙된 반응을 올렸다. 이후 관련 게시물에는 ‘의원들을 교수형에 처하라’는 표현이 등장해 파문이 커졌다.

‘브이 포 벤데타’ 영상과 ‘철창 이미지’ 게시물 확산그는 이어 엑스(X·옛 트위터)에 올라온 AI 게시물 두 건을 링크 형태로 인용해 트루스소셜 계정에 공유하며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했다.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엑스(X·옛 트위터) 게시물 링크를 공유했다. 해당 영상에는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가이 포크스 가면 인물이 등장하며, 미국 형법 18 U.S.C. §2387 조항을 인용해 “군 명령 체계를 공격한 행위”라고 비난하는 내용이 담겼다. 트루스소셜 캡처


첫 번째는 ‘딥페이크콰이츠’(DeepFakeQuotes) 계정이 올린 영상이었다.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가이 포크스 가면 인물이 등장하며, 미국 형법 18 U.S.C. §2387(군 관련 불복종·선동 금지 조항)을 인용해 “군 명령 체계를 공격한 행위”라고 비난하는 내용이다.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엑스(X·옛 트위터) 게시물 링크를 공유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민주당 의원 6명이 철창 안에 갇힌 듯한 AI 합성 이미지가 포함돼 논란이 일었다. 트루스소셜 캡처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공유한 AI 합성 영상(GIF). 영상에는 민주당 의원 6명이 철창 안에 갇힌 모습으로 표현돼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반역적 행위는 사형에 처할 수 있다”고 언급한 직후 게시됐다. 엑스 캡처


두 번째는 ‘케빈 라텔로’(Kevin Ratello) 계정이 게시한 이미지로 민주당 의원 6명을 철창 안에 가둔 합성 사진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게시물을 자신의 계정에 다시 공유했다.

트럼프, Q애넌 지지 계정의 AI 이미지도 재게재

확대보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X(옛 트위터) 계정 ‘스피리추얼 스트리트파이터(Spiritual Streetfighter 17)’가 올린 AI 이미지를 연달아 게시했다. ‘다가올 일을 아무도 막을 수 없다’는 문구가 들어간 가면 이미지부터 ‘딥스테이트를 파괴할 시간’, ‘째깍째깍’, ‘당신의 맹세를 기억하라’ 등 Q애넌식 문구가 담긴 4장의 합성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올라왔다. 트루스소셜 캡처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별도로 ‘스피리추얼 스트리트파이터’(Spiritual Streetfighter 17)라는 계정이 X에 올린 AI 이미지를 네 장에 걸쳐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재게재했다.

해당 계정의 프로필에는 “나는 Q를 믿는다(I believe in Q)”와 Q애넌(QAnon) 지지자들의 구호 “WWG1WGA(Where We Go One We Go All)”이 적혀 있으며, 게시물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영웅처럼 묘사하는 문구가 반복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가올 일을 아무도 막을 수 없다’는 문구가 들어간 가면 이미지를 시작으로, 국회의사당 앞에서 “딥스테이트를 파괴할 시간”이라는 문구가 적힌 이미지, 시계와 지구본을 배경으로 ‘째깍째깍’이라 적힌 이미지, 그리고 성조기를 망토처럼 두르고 도시를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당신의 맹세를 기억하라’ 이미지를 잇달아 올렸다.

이 같은 이미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Q애넌식 상징과 문구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을 낳았다.

공화당 내에서도 “도 넘었다”트럼프 대통령의 과격한 반응에 공화당 내부에서도 제동이 걸렸다. 일부 의원들은 “대통령의 표현 수위가 지나치다”며 자제를 촉구했고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민주당 의원들의 처형을 지시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데일리비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 비판을 받자 AI를 이용해 ‘자신의 분노를 정당화’하려는 행보를 보였다”며 “그의 온라인 활동이 다시 음모론과 결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 “AI, 선전 수단으로 악용될 위험”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AI 기술의 정치적 악용 사례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정치학자 제니퍼 브리그스는 “AI가 트럼프의 이미지 전략에 결합하면서 사실상 선전(propaganda) 수단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극단적 지지층이 이 같은 콘텐츠를 현실 위협으로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중국인이 안심하고 성매매하는 일본”…日 총리 지적에 네티즌
  • “만지긴 했는데 발기부전이라”…1~2세 여아 성 학대한 60
  • “억만장자 남친 필요 없다”…노출 없이 1000억 번 21세
  • “UAE에 자리 뺏기나”…인도네시아 언론 “KF-21 사업서
  • “카바예바 없을 때 불렀다”…푸틴, 17세 모델과 ‘비밀 접
  • (영상) 간만 쏙 빼먹었다…범고래, 최강 포식자 백상아리 사
  • 잠수함 어뢰 한 방에 ‘쾅’…나토, 피격돼 침몰하는 군함 영
  • 트럼프 韓 핵잠 건조 승인에…美 유력 군사 매체 “사실상 개
  • “땀에 젖고 횡설수설”…트럼프 ‘60분’ 인터뷰 후 건강 이
  • 하루 만에 말 바꾼 미국?…“한국, 반도체·농산물 완전 개방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