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몽마르트르 유흥가를 주 무대로 활동했던 화가 앙리 드 툴루즈-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 그의 작품인 <살롱에서>는 쾌락과 향락의 공간으로 알려진 살롱의 화려함 너머에 존재하는 인간의 무기력과 권태를 날카롭게 포착한 작품이다.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이 소장한 대표작 중 하나인 이 그림은 파리 유흥가를 배경으로 하지만, 로트렉이 포착한 것은 쾌락의 현장이 아니라 그 속에 흐르는 무기력과 권태다. 살롱은 은밀한 향락의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 계층과 질서가 미묘하게 얽힌 무대였다.
속도와 생동감의 파스텔 기법
이 작품은 로트렉이 순간의 현장감을 포착하기 위해 즐겨 사용했던 파스텔과 유화를 종이 판지 위에 혼합한 독특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파스텔의 부드럽고 빠른 필치는 마치 현장에서 급히 스케치한 듯한 생동감과 속도감을 부여한다. 이는 로트렉이 단순히 장면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살롱의 공기와 분위기, 그리고 그 속에 존재하는 인물들의 무심한 감정의 층위까지 시각화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작품의 구성은 의도적으로 질서정연하지 않다. 붉은 소파와 기둥, 화분 같은 장식 요소들은 이 공간이 일정한 격식과 위계를 갖춘 곳임을 암시하지만, 그 속에 배치된 인물들은 무심히 누워 있거나 멍하니 먼 곳을 응시하며 공간의 격식과 상반되는 무료한 감정을 드러낸다. 로트렉은 의도된 불균형 속에서 유흥가의 일상 속에 스며든 권태의 리듬을 그려냈다.
화려함 속의 고독, 내부자의 시선
<살롱에서>를 지배하는 붉은 소파와 장식들은 사람들의 시선을 유혹하는 화려한 장치처럼 빛나지만, 그 위에 기댄 인물들의 표정은 정반대의 감정을 드러낸다. 무표정하거나 텅 빈 듯한 시선은 반복되는 일상과 고립의 정서를 담고 있다. 유흥과 욕망이 가득해야 할 이 공간은, 로트렉의 시선을 거치면서 오히려 인간 존재의 공허함을 드러내는 무대가 된다.
로트렉은 귀족 가문 출신이었지만 신체 장애와 가족의 냉대 때문에 상류층 사회에서 소외되었다. 그는 상류층의 위선과 차가운 시선 대신, 자신처럼 사회적 편견과 상처를 지닌 사람들이 모여 있던 물랑루즈와 살롱에서 위안과 동료 의식을 찾았다.
로트렉은 그들을 관음자(Voyeur)가 아닌 내부자(Insider)이자 기록자로서 바라보았다. 그들과 스며들어 어울렸기에, 유흥의 화려함 뒤편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외로움과 존엄을 누구보다 진실하게 그려낼 수 있었다. <살롱에서>가 구겐하임 컬렉션에 자리 잡은 이유는, 그것이 단순한 풍속화가 아니라 사회적 관찰과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