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포착

[포착] 푸틴도 벌벌?…‘젤렌스키 야심작’ 장거리 미사일 ‘넵튠’ 최신형 공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우크라이나의 최신형 넵튠 미사일.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순항미사일 토마호크를 공급할지를 놓고 고심 중인 가운데, 우크라이나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개량형 장거리 미사일이 공개됐다.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 인사이더(BI) 등 외신은 우크라이나 당국이 자체 개발한 핵심 무기인 ‘넵튠 순항미사일’의 최신형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7일 유럽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최신형 넵튠 미사일과 R-73 대공미사일을 탑재한 무인수상정(USV) ‘마구라-7’, 로켓 드론 ‘페클로’(Peklo) 등 자체 개발한 무기를 대거 공개했다. 이중 최신형 넵튠 미사일은 기존 것과 비교해 외관이 다소 달려졌다. 특히 미사일 측면에 돌출된 부분이 보이는데, 전문가들은 사거리를 늘리기 위한 연료탱크가 추가된 것으로 분석했다.



확대보기
▲ R-73 대공미사일을 탑재한 무인수상정(USV) 마구라-7.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넵튠은 우크라이나가 소련제 Kh-35 미사일을 기반으로 국산화·계량화한 ‘젤렌스키의 야심작’이다. 우크라이나는 개전 초기인 2022년 4월 넵튠 미사일로 ‘푸틴의 자존심’인 러시아 흑해함대의 기함 모스크바함을 격침하기도 했다. 이후 우크라이나는 기존 300㎞였던 넵튠 미사일의 사거리를 1000㎞로 늘린 ‘롱 넵튠’을 개발해 실전 배치했다. 다만 이번에 공개된 신형 넵튠의 사거리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롱 넵튠과는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확대보기
▲ 과거 우크라이나가 공개한 롱 넵튠.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이처럼 우크라이나는 개전 이후 장거리 미사일과 각종 드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다. 미국 등 서방이 제공한 미사일의 사거리가 짧아 러시아 본토 깊숙이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온 것. BI는 “우크라이나가 자체 개발한 장거리 무기 상당수는 서방이 제공한 미사일보다 더 강력한 수준”이라면서 “예를 들어 지난 8월 공개한 ‘플라밍고’ (Flamingo) 장거리 순항 미사일의 경우 사거리가 2800㎞에 달해 모스크바까지 사정권에 들어온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 몇 주 동안 우크라이나는 장거리 무기를 사용해 러시아의 에너지 시설을 공격해 모스크바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전쟁 자금을 차단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 백악관에서 토마호크 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어느 정도 결정은 했다”면서도 “전쟁을 확전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바로 전날인 5일 블라미디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토마호크 미사일을 지원해선 안된다며 미국을 향해 거듭 강력한 경고를 날린 바 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얼음뿐인 남극의 텐트 안에서 성폭행…이례적 사건 결말은?
  • “악마를 보았다”…22년간 딸 감금·성폭행, 자녀 3명 출산
  • (영상) 중국, UFO 감췄나…“中 미사일이 미확인비행물체
  • ‘트럼프 거짓말’ 폭로한 일본…“투자금 5500억 달러 아냐
  • ‘찰칵’ 피 흘리는 사람 앞에서 스마트폰 촬영만…충격적인 시
  • “부부관계 질문금지”…떨어져 살수없는 쌍둥이 자매의 속사정은
  • “이재명이 트럼프 속이고 시민들 위협”…美 언론 기고문, 작
  • “푸틴도 못 지켜” 아사드 전 대통령, 독살 시도로 쓰러져
  • 기우뚱하더니 ‘와르르’…美 화물선 컨테이너 67개 바다로 추
  • “여기가 북한이냐?”…연방 건물에 걸린 ‘트럼프 얼굴’ 대형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