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핀란드로부터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쇄빙선 11척을 구매할 것으로 알려졌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은 미국이 핀란드로부터 쇄빙선 11척을 구매해 이 중 4척은 핀란드에서 7척은 미국에서 각각 건조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 백악관에서 열린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쇄빙선 구매 사실을 공개하며 “당신(핀란드)들이 하는 일은 우리에게 쇄빙선 사업에 대해 가르쳐 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스투브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몇 달 전 처음 회담에서 쇄빙선 문제를 제기했다”면서 “러시아가 쇄빙선을 40척이나 보유하고 있다고 했던 말이 기억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거대한 전략적 결정”이라면서 “우리는 모두 북극이 전략ㆍ군사ㆍ경제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핀란드는 세계 유수의 쇄빙선 제조국으로 전 세계 쇄빙선의 약 80%가 핀란드 기업에 의해 설계된다. CNN은 “북극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노력은 수년 간 주요 관심사였다”면서 “특히 중국과 러시아가 이 지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쇄빙선 구매의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가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미국의 핀란드 쇄빙선 구매에 관심이 더욱 쏠린다. 한국 조선업계도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쇄빙선과 같은 특수선은 경험과 실적이 제한적이다.
한편 북극항로는 기후변화로 북극의 해빙(海氷) 면적이 축소되면서 새롭게 열리는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새로운 해상 실크로드다. 미국은 북극항로가 열리면 알래스카와 그린란드가 연결돼 미국과 동아시아, 유럽이 연결된다. 우리나라 역시 북극항로를 이용해 유럽으로 가면 기존항로보다 운항 거리는 30% 짧아지고, 운항 기간도 10일 정도 단축된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