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탄도미사일이 러시아의 기술지원으로 성능이 개선돼 우크라이나가 미국제 방공망으로 요격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우크라이나 매체 ‘뉴보이스 오브 우크라이나’(NV)는 17일(현지시간) 자국 군사 전문가인 아나톨리 크흐랍츠힌스키가 최근 ‘패트리엇이 없다면’이란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최근 들어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이 나라 방공망의 핵심인 미국제 패트리엇 미사일이 이미 고갈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직 공군 장교이기도 한 크흐랍츠힌스키는 이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를 향해 발사된 북한제 KN-23과 KN-24 단거리 탄도미사일들은 처음에는 비행 중 분해되기도 했지만 최근 버전은 상당히 개선됐다면서 이는 러시아의 기술력 지원 덕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N-23은 ‘북한판 이스칸데르’라고 불리는 화성-11가형이며, KN-24는 ‘북한판 에이태큼스’란 이명을 가진 화성-11나형이다. 이스칸데르급 미사일은 변칙기동이 특징이고 에이태큼스급의 경우 탄두에 자탄 최대 900여발이 장착돼 있어 축구장 3~4개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다.
크흐랍츠힌스키는 또 수도 키이우에 지난 6일 날아든 러시아발 탄도미사일에 대해 미사일 여러 기가 한 지점을 정확하게 겨냥했거나, 요격하기 어려운 복잡한 비행경로를 따라오면서 패트리엇 미사일로 이를 격추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패트리엇 방공 체계에는 사각지대가 있다는 걸 잊지 마라. 레이더에는 한계가 있고 모든 것을 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패트리엇 레이더는 360도 감시 체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이스칸데르-M 탄도미사일은 (지난 6일에)요격됐지만 북한제 미사일은 요격되지 않았다”면서 적의 미사일이 레이더망을 교란하는 미끼를 사용해 요격 지점을 계산하는 데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고 추정했다.
실제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데는 요격기로 직접 맞춰 운동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파괴해야 하므로 정확한 계산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크흐랍츠힌스키는 “컴퓨터가 요격 지점을 계산한다”면서 “미사일의 궤적, 특히 마지막 단계에서의 변화는 완전히 새로운 계산을 요구하므로 (계산)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방공망에는 타깃팅(표적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탐지 수단이 부족하다면서 방공 요격기와 레이더 체계를 모두 늘려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최근 우크라이나에 대한 탄도미사일 공격을 늘리고 있다. 지난 5일 동남부 크리비리흐를 공격한 데 이어 13일에는 북동부 수미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민간인 등 34명이 숨졌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