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한국 동전으로 인한 결제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일본 후지 TV 계열 FNN프라임온라인은 20일 “한국의 500원 동전을 일본의 500엔 동전처럼 악용하는 사례로 일본 가게들이 큰 손해를 입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쿄 신주쿠 주의 한 우동가게 주인 이토 다카시(69)는 “(일본의)500엔 동전과 (한국의) 500원 동전은 크기와 무게가 같아서, 손님이 놓고 가면 바로 확인하기가 어렵다”면서 “특히 (손님이 많은) 혼잡한 시간대에는 확인이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10년 전부터 이런 피해 사례가 15차례 이상 발생했다. 대부분 가게 영업이 끝난 뒤 정산을 할 때 알아차리게 된다”고 덧붙였다.
현지 언론은 유사 사례가 일본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일본에서 한국의 100원, 500원짜리 동전을 사용하다 문제가 된 사례는 여러 차례 보도됐다. 지난해 10월에는 현금만 받던 도쿄의 한 대중목욕탕이 공식 SNS에 “한 고객이 500엔 대신 500원을 냈다”고 폭로하는 글을 게재하기도 했다.
일본 500엔·한국 500원 동전, 얼마나 비슷할까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사용되는 500원과 500엔 동전의 화폐 가치 차이는 21일 환율 기준 500엔이 약 4680원으로, 9.36배 차이다.
두 동전의 크기는 지름이 모두 26.5㎜이며, 무게는 500원짜리가 동전이 7.7g, 500엔짜리 동전이 7.0g, 2021년부터 발행한 신권이 7.1g이다. 외형을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구별해내기 어려운 정도로 비슷하다.
이번 보도에 등장한 가게의 피해가 한국인에 의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1990년대에는 500엔과 500원 동전의 크기·재질이 비슷하다는 점을 악용해 한국인 관광객이 사기를 치는 수법이 종종 적발됐다.
1997년 일본 경찰은 1만 4000개의 500원 동전을 압수한 적 있고 작은 무게 차이를 맞추기 위해 도구를 사용해 자판기에 넣는 일도 있었다. 일본 조폐국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부터 재질을 변경해 발행했지만 비슷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현지 법에 따르면 고의로 500원 동전을 500엔 대신 사용하는 것은 사기죄로, 자판기 등 기계에 사용하다 적발되면 사기죄 또는 절도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