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인 남극대륙에서 떨어져 나온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의 근황이 전해졌다. 25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는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며 최후를 맞고 있는 빙산 A-23A의 모습을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11일 지구관측위성 테라에 설치된 중간해상도 영상 분광계(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로 촬영한 A-23A의 모습은 지속적으로 빙산이 붕괴하고 있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현재 A-23A의 본체 면적은 약 1500㎢로 아직도 서울(605㎢)의 2배가 넘지만 초기와 비교하면 절반 이상은 이미 사라졌다.
특히 사진에는 A-23A에 떨어져 나온 거대한 빙산 조각이 확인되는데, 각각 A-23G와 A-23I로 분류됐다. 위성 촬영 당시 A-23G의 면적은 약 324㎢이며, A-23I는 344㎢다. 미국 국립빙산센터는 면적이 69㎢ 이상인 경우 이름을 붙이고 추적해 기록한다. 호주 기상청 얀 리저 연구원은 “거대한 빙산들은 종종 수천 개의 중소형 조각을 낳는다”면서 “이 빙산들은 원래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 항로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A-23A는 원래 3460㎢에 달하는 엄청난 크기로, 1986년 8월 남극 대륙 웨들해 깊숙한 곳에 있는 필히너 빙붕에서 분리됐으나 1조 t이 넘는 무게 때문에 웨들해에 좌초되면서 그간 또 하나의 섬처럼 존재해왔다. 오랜 시간 A-23A를 묶어놓은 ‘족쇄’가 풀릴 조짐이 보인 것은 2020년으로, 결국 지난해 11월 바람과 해류의 힘을 받아 움직임에 가속도가 붙으며 본격적인 표류 여행에 나섰다. 현재 남극과 아르헨티나 사이에 있는 사우스조지아섬 인근까지 흘러간 A-23A는 지구 남반구에 봄이 찾아오면서 해빙에 가속도가 붙었다.
그렇다면 A-23A의 운명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앞서 영국 남극조사국(BAS) 물리 해양학자인 앤드류 마이어스 박사는 지난 3일 AF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A-23A가 북상하며 표류함에 따라 상당한 수준의 붕괴가 이루어졌다”면서 “바닥 면은 이미 무너지고 있으며 수온이 높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곧 소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현 상태가 이어지면 몇 주 안에 식별하기도 힘들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곧 지구상에서 가장 컸던 빙산의 표류 여행이 약 40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는 셈이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