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중국의 압도적 전력에 맞서 ‘비대칭 카드’ 준비하는 대만 [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대만 중산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자폭형 무인기. 출처 대만 국방부


중국의 무력 침공 위협에 직면한 대만은 일부 무기체계를 자체 개발하고 있지만, F-16 전투기나 M1A2 전차 등 핵심 무기체계는 여전히 미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자체 개발 무기 중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에 해당하는 중산과학연구원(NCSIST) 주도로 개발된 슝펑 대함미사일, 톈궁 대공미사일, 치앙쿵 탄도미사일 등 미사일 전력이 방어의 핵심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재래식 전력만으로는 중국과의 막대한 전력 차이를 메울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대만 정부는 무인 시스템 중심의 비대칭전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막대한 물량을 앞세운 중국의 공세에 맞서 소모 가능하고 저렴한 무기체계로 대응하는 전략이다.

무인 전력의 발전: 드론과 무인수상정

대만의 무인체계 개발은 1990년대 정찰용 드론인 춘웨이를 시작으로 꾸준히 이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저가 양산형 무기체계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무인항공기 분야에서는 젠샹이라는 무인자폭기를 개발했으며, 민간 업체들도 다양한 FPV 드론이나 자폭기를 선보이고 있다.

해상에서도 무인 전력 강화가 활발하다. 대만 조선업체 CSBC는 대만 최초의 정찰형 무인수상함 **‘엔데버 만타(Endeavor Manta)’**를 취역시켰고, 소형 자폭 보트인 쿠아이치는 1,32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쿠아이치는 자폭 드론을 탑재해 원거리 공격도 가능하며, 민간 업체가 개발한 타이거샤크나 씨샤크 같은 무인수상정도 필요시 대량 배치가 가능해 중국 해군을 견제하는 핵심 전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확대보기
▲ 대만 조선업체 CSBC가 개발한 엔데버 만타 무인수상정. 대만 CSBC


미국과의 기술 협력 강화

대만은 무인 시스템 분야에서 미국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에어로바이런먼트와는 스위치블레이드 자폭 드론의 현지 생산에 합의했고, 안두릴과는 무인 시스템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 무인수상함 업체 마르텍과는 무인수상정 공동 개발에 합의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서두르고 있다.

이 외에도 대만은 중국의 무인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레이저 및 드론 재밍 기술을 연구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군과의 압도적인 전력 차이 속에서 대만의 이러한 비대칭 전략이 어떤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확대보기
▲ 대만 썬더 타이거 그룹이 개발한 씨샤크 200 무인수상정. 대만경제부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얼음뿐인 남극의 텐트 안에서 성폭행…이례적 사건 결말은?
  • “악마를 보았다”…22년간 딸 감금·성폭행, 자녀 3명 출산
  • 감옥 갈까 두려웠나…재판 앞두고 급히 출국한 태국 전 총리
  • “한국, 일본에 버릇없이 굴잖아”…日 유력 차기 총리의 인식
  • ‘찰칵’ 피 흘리는 사람 앞에서 스마트폰 촬영만…충격적인 시
  • (영상) 중국, UFO 감췄나…“中 미사일이 미확인비행물체
  • “부부관계 질문금지”…떨어져 살수없는 쌍둥이 자매의 속사정은
  • “이재명이 트럼프 속이고 시민들 위협”…美 언론 기고문, 작
  • 기우뚱하더니 ‘와르르’…美 화물선 컨테이너 67개 바다로 추
  • “여기가 북한이냐?”…연방 건물에 걸린 ‘트럼프 얼굴’ 대형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