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시절 스타트업을 창업해 지난해에만 무려 3000만 달러(약 440억원)의 매출을 낸 18세 청년이 미국 명문대학 입학은 모두 불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칼로리 분석 앱 ‘칼 AI’으로 매달 수백만 달러를 버는 잭 야데가리(18)와의 인터뷰를 전했다.
잭은 고등학교 시절 친구와 동업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칼로리 분석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한마디로 대박을 터뜨렸다. 이 앱은 음식 사진을 찍으면 칼로리와 영양소를 계산해 주는데, 출시 8개월 만에 다운로드 횟수가 500만회를 돌파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뉴욕주 로슬린 출신의 잭은 떡잎부터 남달랐다. 7살에 코딩을 배우고 12살에 처음 앱을 출시할 정도로 많은 아이디어와 사업가적 기질 역시 뛰어났던 것. 특히 창업 성적만 우수한 것은 아니다. 그의 학점(GPA)은 4.0이며 ‘미국의 수능’ 격인 대학 입학 자격시험 ACT(36점 만점)에서도 34점으로 최상위권 성적이기 때문이다.
잭은 “모든 대학은 아니지만 명문대 몇 군데는 합격할 것이라 기대했다”면서 “대학 입학처가 창업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보다 자원봉사와 같은 과외활동에 더 가중치를 주는 것 같다”며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어 “대학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확실히 커지고 있다”면서 “내 입학 결과가 나와 비슷한 경로를 걷고자 하는 이들의 대학 지원을 꺼리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합격한 세 대학 중 한 곳에 입학할 가능성이 높지만 4년을 다닐 수 있을지는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이런 잭의 사연은 소셜미디어에서 2700만 건 이상이 조회될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일각에서는 “대학은 근본적으로 연구와 과학 발전을 위한 곳”이라면서 잭의 발언에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반면 “자신을 바꾸려 하지 말라. 언젠가 그 대학들이 당신에게 기부금을 늘려달라고 애원할 것이다”라는 응원도 많았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