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이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잡아먹고 살았는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 간혹 단단한 껍데기나 뼈를 지닌 동물의 화석에서 이빨 자국이 발견돼 결정적인 증거를 확인할 수도 있기는 하나 매우 드문 일이고 위장 내부에서 먹이의 흔적이 화석화되어 발견되는 경우 역시 드물기 때문이다.
그런데 호주 국립대와 호주 박물관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영국의 유명 코미디 그룹인 몬티 파이톤의 노래 제목으로 이름을 지은 어떤 화석 덕분에 이런 드문 기회를 포착했다. 에릭(Eric)이라는 별명을 지닌 우무나사우루스 데모스실루스 (Umoonasaurus demoscyllus)라는 소형 플레시오사우루스의 화석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우무나사우루스는 몸길이 2.5m의 소형 수장룡으로 현재의 바다사자와 비슷한 크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학자들은 우무나사우루스가 먹이 사슬의 중간 정도에 있다고 보고 있다. 작은 물고기나 연체동물을 잡아먹고 더 큰 수장룡이나 다른 대형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는 의미다. 이렇게 먹이 사슬에서 중간에 위치한 생물이 어떻게 살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당시 생태계 전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에릭은 전체 골격의 93%가 보존된 매우 완벽한 화석으로 심지어 위 같은 부드러운 조직까지 보존됐다. 연구팀은 이 귀중한 화석을 손상 없이 연구하기 위해 직접 내부를 열어보는 대신 고해상도 CT 스캔을 통해 내부 구조를 확인했다. 그 결과 위에서 물고기의 척추뼈 17개와 소화를 도와주는 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물고기의 종류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목이 긴 플레시오사우루스가 빠르게 헤엄치는 작은 물고기를 잡는 데 유리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들은 먹이를 죽이고 씹는 데 특화된 이빨이 아니라 먹이가 도망치지 않게 하는 데 특화된 이빨을 지니고 있었는데, 일단 잡은 먹이는 많이 씹지 않고 삼켰다. 그리고 먹이를 적당히 갈아서 소화하기 좋게 만드는 일은 위에 있는 작은 돌을 활용했다. 이번 연구에서도 과학자들은 이런 용도로 적합한 작은 돌을 여럿 발견했다.
우무나사우루스는 1억 1500만 년 전 백악기 바다에서 먹이 사슬의 중간을 담당하는 중요한 해양 파충류였다. 이들이 없다면 우리가 공룡 영화나 자연사 박물관에서 보는 거대한 해양 파충류들도 존재할 수 없었다. 에릭은 백악기 바다의 중간 포식자들이 무엇을 먹고살았고 어떻게 사냥했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셈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