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에는 농사에 관련된 단어가 많다. 멍석, 김매기, 타작, 모내기 등 농사와 관련된 단어가 많은 것은 그만큼 농경 사회를 오래 이루고 살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사실 인간은 농사한 기간으로는 개미나 흰개미의 상대가 될 수 없다. 일부 곤충들은 인류의 조상이 지구에 등장하기 아득하게 오래전부터 농사를 지어왔다. 잎꾼개미의 경우 나뭇잎을 잘라 식용 버섯을 키우는데, 그 시기는 50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잎꾼개미만큼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사실 일부 흰개미도 곰팡이를 재배해 식량으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오돈토테르메스 오베수스(Odontotermes obesus)라는 흰개미는 테르미토마이세스(Termitomyces)라는 곰팡이를 재배해 식량으로 삼는다. 그런데 흰개미에게도 농사일은 쉽지 않다. 욕실에 생기는 곰팡이 때문에 고생하는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곰팡이는 어디서나 악착같이 잘 자랄 것 같지만, 사실은 논밭마다 생기는 잡초처럼 양분을 노리고 침입하는 외부 곰팡이 때문에 정작 키우는 곰팡이는 잘 자라지 못할 수 있다.
이때는 인간이 김매기를 해주는 것처럼 흰개미도 외부 곰팡이를 제거해 줘야 귀중한 농작물을 지킬 수 있다. 인도 모할리 과학 교육 및 연구소의 아안칼 판칼이 이끄는 연구팀은 흰개미가 대표적인 잡초 곰팡이인 슈도실라리아(Pseudoxylaria)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처음에는 작은 규모의 잡초 곰팡이를 넣어서 흰개미의 반응을 본 후 많은 양의 잡초 곰팡이를 주거나 혹은 잡초 곰팡이와 먹이 곰팡이를 함께 붙여서 줬다. 호미와 낫을 들고 제초 작업을 할 수 없는 흰개미들은 흙을 대신 사용해 잡초 곰팡이를 덮어 버린 후 포자가 퍼지지 않게 안전하게 제거했다.
연구팀은 흙 속의 미생물이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보고 살균한 흙을 추가로 준 후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살균된 흙에서는 잡초 곰팡이가 그대로 자라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진 참조) 흰개미들이 효과적으로 흙의 천연적인 항진균 효과를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증거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