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전 고대인들이 쓰던 물건들로 추정됐다. 이 유물들 중에는 옻칠을 위한 붓을 만드는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모발 추정 물질도 나왔다.
고대인들의 생활상을 취재하던 KBS역사 스페셜에서 모발 추정 물질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분석을 의뢰했다.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발굴된 모발의 정체 붓의 재료로 족제비 털, 돼지털 등 다양한 동물 털들이 사용되었으나 옛날부터 가장 좋은 재료로 치는 것이 사람의 모발이었다. 따라서 유적지에서 출토된 모발이 동물 털인지 사람의 모발인 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모발은 작은 유리병에 담겨져 의뢰됐다. 눈으로 확인한 모발은 한편으로 나무뿌리 같기도 했고 짐슴의 털처럼 매우 빳빳했다. 경험상으로는 거의 동물 털에 가까웠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과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기로 했다.
실체 현미경과 광학 현미경으로 모발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 모발의 표면에 광택이 있었으며 모발의 끝부분은 대부분 침상(針床)형이었다.
검체를 압좌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발에서 볼 수 있는 수질부와 모소피무늬가 관찰됐다.
현미경 관찰과 혈액형 등 유전자 분석 해리시험법에 의한 ABO식 혈액형 검사 결과, 혈액형을 판정할 수 없었다. 이는 모발이 워낙 오래되어 혈액형 관련 물질이 완전히 손상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모간부에서 DNA를 분리 한 후 3가지의 키트를 사용해서 단연쇄반복(STR) 부위를 분석하였으나 일부의 유전자형만 검출됐다.
위에서 분리된 DNA를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 분석을 실시해 성공적으로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표준 염기서열(Anderson sequence)와 비교한 결과 4개의 염기에서 변이가 발견할 수 있었다.
옻칠 할때 사람의 모발로 만든 붓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 모발의 모소피무늬와 수질부의 현미경 관찰 결과, 사람의 모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모발에서 분리한 DNA에서 STR 유전자형 및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에서도 일부 STR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 있었다.
미토콘드리아 DNA HV1 분석에서는 성공적으로 염기서열을 밝힐 수 있었다. 이를 표준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한 결과 4개 부위에서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말해 사람의 모발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당시 옻칠에 사용된 붓의 재료가 사람의 모발로 만들어졌으며 이렇게 만든 붓으로 생활용품 등에 옻을 칠할 때 사용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박기원 전 국과수 부장 kwpark001@hanmail.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