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에 한국과 정반대 편에 놓인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는 군부독재라는 슬픈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한국보다는 짧지만 우루과이도 1973년부터 1985년까지 군부독재가 이어졌고 반체제 인사나 정권 위협 인물로 낙인찍혀 실종된 사람들은 공식적으로는 197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36명만 유골이 발견됐고 나머지는 여전히 생사가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에선 5월이면 광주민주화운동을 기리는 것처럼 우루과이는 5월 20일 군부독재 때 사라진 실종자들을 기억하자는 취지로 ‘침묵의 행진’ 행사를 연다.
‘침묵의 행진’을 하루 앞둔 19일(현지시간) 언론은 올해 100세가 된 마리아 베이시(María Bellizzi) 여사를 주목했다. 베이시 여사는 1924년 10월 21일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932년 부모와 함께 남미로 이주해 정착했다.
‘침묵의 행진’을 하루 앞둔 19일 우루과이 정부와 실종자 관련 인권단체가 한자리에 모였다. 이 자리에서 ‘어머니와 가족들’(Fundadora Madres y Familiares) 창립자인 베이시 여사는 “반세기 동안 실종자들을 찾아왔지만 성과가 미흡하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군부독재 종식 후 들어선 정부들도 학살자들을 비호하기만 했을 뿐 진실을 규명하고 정의를 세우려고 하지 않았다”면서 “이미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실종자 생사와 관련해 얻은 건 매우 작다”고 말했다.
또 “실종자 몇 사람의 유골을 찾은 것을 두고 큰 업적이라고 할 수 없다”면서 “우리가 원하는 건 유골이 아니라 누가 우리의 자식들에게 무슨 짓을 했는지 진실을 밝혀내 세상에 알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망이 확인된 실종자 36명 중 7명의 유골은 우루과이 군부대에 암매장돼 발굴했고, 나머지 29명은 아르헨티나 등 인접국에서 유골을 발견했다. 아르헨티나는 1970년대 후반 우루과이와 비슷한 일을 겪은 국가다.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사정부가 반체제 인사들을 불법으로 마구 잡아들여 최대 3만여명이 실종돼 지금까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현지 언론은 “우루과이 실종자 유골이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건 당시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 세력들이 긴밀히 협조하면서 인권을 탄압했다는 뜻”이라고 보도했다.
임석훈 남미 통신원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