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 병사들의 시신에서 유전자 샘플을 채취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영자 매체인 유로마이단프레스는 “우크라이나 제73해군특수작전센터 대원들이 러시아 쿠르스크주(州) 전선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적과 교전하는 동시에, 적군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SOF)이 21일 페이스북에 공개한 영상은 공중에서 발사된 폭발물이 전장에 있던 군인들을 타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후 장면에서는 우크라이나군으로 추정되는 병사들이 역시 군복을 입고 사망한 시신에 다가가 면봉으로 타액을 채취하거나 머리카락을 자르는 모습, 시신이 입고 있던 옷 안에서 종이 뭉치 등 소지품을 회수하는 모습이 등장했다.
현재 우리 국가정보원은 러시아군의 무자비한 인해전술로 북한군 약 3000명이 사상했다고 보고 있다.
북한군 “전쟁터 가는 줄 몰랐다” 진술우크라이나 당국은 최근 생포된 북한군 2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12일을 시작으로 생포한 북한군 2명의 모습을 꾸준히 공개해 왔다.
최근 공개된 신문 영상에서 생포된 북한군 2명 중 1명은 자신이 17세 때 입대했으며, 자신이 탄 선박과 열차가 러시아 전쟁터로 향하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북한에 있는 자신의 어머니도 이 같은 사실을 모른다고 밝혔다.
또 러시아로 건너올 때 북한에서 선박을 탔으며, 이후 열차로 육로를 이동해 쿠르스크에 도착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제 무기와 군사 장비 사용법을 교육받았는지 묻자, 러시아군이 북한군 몇 명을 뽑아서 러시아 무기와 장비 사용법을 가르쳐줬지만 자신은 이와 관련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생포된 북한군을 신문하는 우크라이나 보안국 조사관이 북한 병력 사상자 규모를 묻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같이 온 동료 중 사상자가 많았는데, 전체적으로 병력 손실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른다”고 말했다.
현재 우크라이나 당국은 전투 과정에서 확보한 북한군 관련 정보를 심리전 도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생포된 북한군 2명의 신병 처리에 대한 언급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