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공군력 현대화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관료주의 때문에 진행이 느린 상황이다. 인도 공군에게 승인된 전력은 42개 비행대지만, 2025년 초 기준으로 31개 비행대만 갖추고 있어 전력 공백에 심각한 상황이다.
인도는 9월 26일 마지막 6대가 퇴역한 미그-21 전투기 대체기로 자체 개발한 LCA 테자스 경전투기를 생산하고 있지만, 개발이 상당히 지연되었고 최근에는 미국제 엔진 공급 문제로 생산마저 지연되고 있다. 중형 전투기는 프랑스에서 라팔 전투기를 긴급하게 도입하여 급한 불은 껐지만, 아직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현재 인도 공군의 주력은 러시아제 Su-30MKI를 인도 국영 항공기 제작사 힌두스탄 에어로노틱스(HAL)가 라이선스 생산한 기체로 260대를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숙적인 중국이 5세대 전투기인 J-20에 이어 J-35를 도입했고, 파키스탄도 중국에서 J-35 도입을 추진 중인 상황이라 이에 대항할 5세대 전력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F-35는 자국 현지 생산과 이를 위한 기술 이전을 바라는 인도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어 일찌감치 탈락했고, 러시아는 느긋한 입장이었지만, 인도에 기술이전과 공동 생산을 제안했다. 거기에 더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인도에 주요 무기 체계 공급 국가 중 하나인 러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밀착하게 했다. 인도는 러시아에서 Su-57 전투기 2개 비행단 규모의 36~40대를 직도입하여 빠르게 전선 기지에 배치하고, 7개 비행대 분량인 140대는 기술 이전을 통해 HAL이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 계획이 성사된다면, 인도가 2018년 취소했던 러시아와 Su-57을 기반으로 인도형 기체를 만들려던 FGFA 계획 이후 다시 Su-57을 도입하는 것이 된다. 하지만, Su-57의 스텔스 성능은 미국의 F-35와 중국의 J-20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충분한 대응 전력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