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전 남미에서 해발 6600m 화산에 올랐다가 사고로 목숨을 잃은 아르헨티나 산악인의 배낭이 유족의 품에 안겼다. 위험을 불사하고 배낭을 찾아 내려온 이들은 산악인의 두 딸이었다.
11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은 조난사고로 사망한 산악인 기예르모 비에이로의 유품에 대한 사연을 소개하면서 당시 어렸던 그의 딸들이 성장해 험준한 산속에서 아버지의 물건을 찾아 어머니의 품에 안겼다고 전했다.
비에이로는 마흔네 살이던 1985년 안데스산맥 투푼가토 화산 정상을 정복했다. 아르헨티나와 칠레 국경에 놓인 투푼가토 화산은 남미 최고봉인 아콩카구아(해발 6900m) 남부에선 가장 높은 산으로, 빙하로 덮여 안데스산맥 중 가장 아름답고 산세가 수려한 곳으로 꼽힌다.
비에이로는 산악인 지망생이자 제자였던 20살 청년과 함께 그때까지 누구도 도전하지 않았던 투푼가토 화산의 동쪽 루트를 탔다. 동부 루트는 산세가 험해 지금도 산악인들이 도전을 꺼리는 곳이어서 그들의 성공은 크게 주목받았다. 그러나 이들은 하산하던 중에 사고가 발생해 사망했다.
그는 발견한 물건을 모두 갖고 내려오려고 했지만 배낭은 빙하에 꽁꽁 얼어붙어 있어 떼어낼 수 없었다고 한다. 그는 “얼음바닥에 용접을 한 것처럼 얼어붙어 있어 아무리 힘을 써도 꼼짝하지 않았다”고 떠올렸다.
이 산악가이드는 카메라와 피켈이 적힌 이름을 보고 비에이로의 물건이라는 것을 알게 됐고 수소문 끝에 아르헨티나에 사는 유족과 연락이 닿았다. 아르헨티나에는 비에이로의 부인과 이제 40대가 된 두 딸이 살고 있었다. 산악가이드는 그는 물건들을 보내주면서 “돌아가신 아버지의 배낭이 산 위에 있지만 가져오지 못했다”고 알려줬다.
소식을 접한 두 딸은 직접 아버지의 유품을 찾으러 화산에 오르기로 했다. 변호사로 활동 중인 큰딸 아술(44)은 “아버지가 조난사고로 돌아가신 후 집에서 산과 등반은 금기어가 됐다”면서 “아버지의 유품을 찾으러 가기 위해 가장 힘들었던 것은 어머니를 설득하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오랜 설득 끝에 모친의 동의를 얻은 두 딸은 가이드 5명과 기록을 남길 영상 촬영가 2명을 대동하고 아버지의 배낭을 찾아 투푼가토 화산에 올랐다. 사는 곳에서 왕복 100㎞가 넘는 긴 여정이었다.
꼬박 11일이 걸린 등반 끝에 두 딸은 아버지 비에이로의 배낭을 되찾았다. 배낭에는 비에이로의 재킷과 침낭, 수통, 아스피린, 비타민 C, 절연제, 칼 세트, 카메라필름 2통이 들어있었다.
두 딸은 “세계 최초로 동부 루트를 통해 투푼가토 화산 정상에 오른 아버지의 여정이 필름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면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것 같아 산악협회에 유품을 기증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임석훈 남미 통신원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