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메리카에 속하는 엘살바도르의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세라믹 인형이 발굴 3년 만에 공개됐다. 제작 시기가 2400만년 전으로 추정되는 세라믹 인형이 고대문명 유물이 드문 지역에서 나온 데다 남아메리카쪽에 가까운 파나마에서도 보인 문화적 유형을 갖고 있어 기원전 사회 교역상을 증명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엘살바도르 언론은 “산이시드로 피라미드에서 발굴한 세라믹 인형 5점에 대해 3년간의 연구를 마쳤다”면서 “멕시코나 과테말라 등과 달리 고대문명의 유물이 많이 발견되지 않았던 엘살바도르에서 희귀한 고대 유물이 나오면서 고고학계에 새로운 학설이 등장할 수도 있다”고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점토로 만든 5개 인형은 2022년 발견했지만 사진과 연구 결과는 최근 학술지에 실리면서 알려졌다.
인형 중 3점은 높이가 약 30㎝, 나머지 2점은 각각 12㎝와 10㎝로 성인과 어린이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학계는 이들 인형이 만들어진 시기를 기원전 400년 안팎으로 추정했다. 지금으로부터 최소한 2400년 전 지금의 엘살바도르에 살던 고대인들이 남긴 유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인형 용도는 아직 통일된 의견이 나오진 않았지만 인형극에서 사용됐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인형이 발견된 장소에서 유골이 나오진 않았기 때문에 실존 인물을 본뜨거나 무덤 부장품일 수 있다는 분석은 힘이 실리지 않는 편이다.
반면 인형 머리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점, 표정이 다양한 점 등을 볼 때 인형극이나 스토리텔링 등 대중 행사 때 소품으로 쓴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현지 언론은 연구 보고서를 인용해 “엘살바도르에선 그간 고대 유물이 많이 발굴되지 않았지만 산이시드로 피라미드에서 나온 인형은 파나마와 과테말라 등지에서 발견된 유물과 문화적 공통점을 갖고 있다”면서 “과거 고대사회에서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나오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임석훈 남미 통신원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