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중국

“요소 수출 통제, 한국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中언론 발끈 [여기는 중국]

작성 2023.12.06 14:09 ㅣ 수정 2023.12.06 14:09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2021년 요소수 대란 당시 모습. 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최근 요소 수출을 통제하면서 2년 전 한국에서 벌어진 ‘요소수 대란’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중국 관영 언론이 이에 대해 ‘한국의 과민한 반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6일(이하 현지시간) 한국 주요 매체를 인용한 보도에서 “중국 해관총서(세관)가 지난달 30일 중국 기업의 한국 요소수 수출 통관 절차를 중단하자 한국 정부와 기업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정부 측이 ‘중국 측의 조치는 중국 내 공급 부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한국사회에는 여전히 불안감이 남아있다”면서 “이번 요소 수출 정책 조정은 정치적 고려가 아닌, 전적으로 국내 시장의 원활한 공급에 근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지의 한 소식통은 환구시보에 “지금은 내년 봄 경작 및 비료를 준비하는 단계로 식량 안전의 맥락에서 봤을 때 질소 비료의 안정적 가격 보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중국의 요소 수출 조정은 곡물 생산 관점에서 세계 시장을 위한 조정”이라고 분석했다.

또 “14억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국내 식량 안보 및 생산 보장이 대외 공급 대비 더 우선시된다”면서 “이번 수출의 조정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것이며 한국만이 이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언급해 관영 언론의 의견에 힘을 보탰다.

“국내 비축분 부족” 중국 주장, 사실일까?

앞서 중국 해관총서는 중국 현지 기업들이 한국으로 수출하는 요소의 통관을 막았다. 중국의 요소 수출 통제 움직임은 이미 2개월 전부터 감지됐다.

지난 9월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해 “이미 적어도 한 개 생산업체가 비료 수출을 줄인다는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당시 중국의 요소 가격이 출렁이면서, 현지 선물거래 전문가들은 중국 내 재고가 감소하고 수출이 늘어난 까닭에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확대보기
▲ 중국 관영 환구시보 6일자 보도 캡처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의 요소 수출량은 133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3% 늘었다. 7월 한 달 동안의 수출량만 32만t으로, 1년 전에 비해 114.7%나 폭증한 셈이다.

중국의 요소를 대량 수입한 국가는 다름 아닌 인도로 확인됐다.

지난 9월에는 중국의 요소 73%, 10월에는 46%를 인도가 독점하다시피 수입해갔다. 같은 기간 한국의 중국산 요소 수입량은 10% 미만에 불과했다.

인도가 중국산 요소를 대량 사들인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1년 ‘요소수 대란’ 사태 당시에도 같은 패턴

인도가 전쟁 등으로 인해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중국산 요소를 대량 수입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21년 9월에도 인도는 중국산 요소 82만여t을 수입했다. 이는 중국의 요소 수출량 전체의 75%에 달하는 양이었다. 당시 인도는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중국 내 요소 생산량이 감소하자 재빠르게 중국산 요소를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인도의 움직임은 중국 내 요소 공급량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한국에 ‘요소수 대란’으로 이어졌다.

중국 당국은 2021년과 마찬가지로 인도의 수입량이 대폭 증가한 상황에서, 자국 내 요소수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해 수출 통관을 막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인도 등지의 국가로 수출량이 급증하면서 중국 내 요소 재고량이 급감했다.

중국 농자재 거래 플랫폼 ‘페이둬둬‘에 따르면, 이번 주 중국 기업들의 요소 재고량은 약 47만 3000여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줄었다.


중국 안팎의 원자재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요소 수출 제한이 내년 봄 농번기 철까지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본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요소 물량 확보량이 3.7개월 정도라고 밝혔다.

관세청에 따르면 산업용 요소 수입액 중 중국산 비중은 2021년 71%에 달했지만 이후 ’요소수 사태‘를 겪으며 수입처 다변화 시도가 이어졌다. 2022년 67%로 한때 낮아졌으나, 저렴한 운송비 등 가격 요인이 작용해 중국산 요소의 수입 비중은 작년 다시 90%로 높아진 상태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딸에게 몹쓸짓으로 임신까지...인면수심 남성들에 징역 20년
  • 지옥문 열렸나…이란 미사일에 불바다 된 이스라엘 하늘
  • 기적이 일어났다…엄마가 생매장한 신생아, 6시간 만에 구조돼
  • 1살 아기 성폭행한 현직 경찰, ‘비겁한 변명’ 들어보니
  • “남편에게 성적 매력 어필해야”…‘12세 소녀-63세 남성’
  • 마라톤 대회서 상의 탈의하고 달린 女선수에 ‘극찬’ 쏟아진
  • 러시아, 발트해 앞마당도 뚫렸다…우크라의 러 함정 타격 성공
  • 이란의 ‘놀라운’ 미사일 수준…“절반은 국경도 못 넘었다”
  • ‘회당 5만원’ 피(血) 팔아 생계 책임지던 10대 사망…유
  • 온몸에 철갑 두른 러 ‘거북전차’ 알고보니 전략 무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