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미 해군의 치명적인 오판: 90년대에 도입 포기한 최첨단 무인정 [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무인 시대의 서막, 미 해군의 뒤늦은 후회

확대보기
▲ 최근 미 해군이 본토에서 시험한 하복AI의 램페이지 USV. havocai.org


우크라이나 전쟁은 무인 시스템이 현대전의 핵심 무기체계로 자리 잡았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하늘에서는 저렴한 일인칭시점(FPV) 드론이 전차와 장갑차를 파괴하고, 해상에서는 씨베이비나 마구라 V5 같은 소형 자폭 무인수상정(USV)이 러시아 흑해 함대에 치명적인 타격을 안겼다. 이 기술은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대치 중인 필리핀의 관심을 끌었다. 필리핀은 우크라이나와 USV 공동 생산을 논의할 정도로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베트남전부터 드론을 사용해 온 미국이 오히려 뒤늦게 이 전쟁에서 교훈을 배우는 모양새다. 최근 램페이지와 같은 소형 USV를 시험하며 무인 해상 전력 강화에 나서고 있지만, 사실 미 해군은 이미 1980년대 후반에 전투용 USV의 잠재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1984년 인터내셔널 로보틱 시스템이 개발한 OWL Mk. II는 미 해군이 실전 투입을 목표로 평가했던 모듈식 무인수상정이었다. 이 무인정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바레인의 미 해군 제1 분견대에서 항만 방어, 기뢰 소해, 연안 대잠전, 은밀 감시 등 다양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특히 1997년 미 샌디에이고 해상에서 진행된 함대 전투 실험에서는 훨씬 크고 값비싼 시스템들을 능가하는 압도적인 성능을 입증했다. 마지막 변형 모델은 70노트 이상의 속도와 657.7kg의 탑재량을 자랑했으며, 거친 해상 조건에서도 36시간 이상 작전이 가능했다. 공중 투하, 소형 함정 발진 등 여러 방식으로 전개가 가능해 기존 해군 함정과의 통합성도 뛰어났다.



확대보기
▲ OWL Mk. II.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하지만 이 혁신적인 프로젝트는 뜻밖의 이유로 중단됐다. “너무 진보적이고 비용이 적다”는 이해하기 힘든 평가 때문이었다. 개발자인 하워드 혼즈비는 이것이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기존 국방 프로그램에 위협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미 해군이 15척을 주문하려던 계획은 중동의 예멘 해안에서 구축함 USS 콜이 자폭 보트 공격을 받기 직전에 취소됐다. 결국 예산 확보에 실패한 개발사 나브텍은 2000년대 초 USV 사업을 완전히 접었다.

20년이 지난 지금, 미 해군은 다시 USV 기술에 주목하고 있지만 혼즈비는 지금의 시험이 잔잔한 바다에서만 이뤄지는 것에 우려를 표한다. 만약 90년대 당시 미 해군이 OWL Mk. II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정식으로 도입했더라면, 오늘날 무인 시스템 도입 경쟁에서 훨씬 앞서 나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OWL Mk. II는 시대를 너무 앞서간 비운의 기술이자 미 해군에게는 군사력 선점의 기회를 놓친 뼈아픈 교훈으로 남았다.



확대보기
▲ 1990년대 미 해군이 시험했던 OWL Mk.II 무인수상정. 미 국방부 시각 정보 배포 서비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내 아내의 ‘노출 사진’ 함께 봐요”…유명인·경찰 등 모인
  • “가슴 좀 그만 만져!”…접촉 금지령도 소용없어, 당국의 선
  • 오토바이에 ‘아내 시신’ 매달고 80㎞ 달린 남편, 반전 사
  • 감옥 갈까 두려웠나…재판 앞두고 급히 출국한 태국 전 총리
  • 푸틴, 17세 미인대회 출신과 ‘비밀 교류’ 의혹…신간 폭로
  • “한국, 일본에 버릇없이 굴잖아”…日 유력 차기 총리의 인식
  • “횡재했어요”…美 예비 신부, 주립공원서 2.3캐럿 다이아몬
  • “유령일지도”…‘14억 롤스로이스’로 음주 사고 낸 中 20
  • 우크라 스나이퍼, 4000m 거리서 ‘탕’…역대 최장 거리
  • “中 J-20 겨냥”…美, 스텔스·급유 가능한 차세대 전투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