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일반

올해 마지막 ‘슈퍼문’은 언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지난 10월 17일 서울 하늘에 뜬 ‘슈퍼문’.
연합뉴스


만물에 적절한 이름을 붙이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다양한 보름달 명칭도 갖고 있다. 긴 겨울 늑대 울음소리가 들리는 1월은 ‘늑대 달’, 눈이 많이 내리는 2월은 ‘눈의 달’, 꽃이 만발하는 5월은 ‘꽃의 달’, 한여름 더운 공기로 달이 붉게 보이는 8월은 ‘빨간 달’이라고 하는 식이다.

11월의 달은 ‘비버 문’이다. 비버가 추운 겨울을 앞두고 매우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시기라 이렇게 부른다.

16일 새벽에 떠오르는 비버 문은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다. 앞서 8월 19일, 9월 17일, 10월 17일에 슈퍼문이 관측됐다.

정확히는 16일 새벽 6시 28분에 볼 수 있다. 이때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36만 2000㎞, 달의 시지름(겉보기 지름)은 0.33초(1도는 60초)로 예측된다. 평균 보름달보다 약 10% 더 크다.

서울 기준 달돋이 시간은 15일 5시 18분이므로 사실 이때부터도 크기가 남다른 달을 볼 수 있다.

11월 보름달은 또 다른 천상의 선물으로 불리는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함께한다. 황소자리에서 별이 군집한 이 성단은 ‘일곱 자매’라고도 불리며, 밤하늘에서 가장 인기 있는 풍경 중 하나이지만 보름달이 밝아 성단의 별 대부분을 보기는 힘들 것이다.



확대보기
▲ 11월 중순 해가 진 직후 나타나는 수성과 금성.
출처: Chris Vaughan/Starry Night


16일 밤하늘에서 네 개의 행성이 보름달 비버의 달과 합류한다.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동방 최대이각(22.5도)에 이른 수성으로, 남서쪽 하늘의 낮은 곳에 나타난다. 수성은 일몰 후 1시간이 조금 지나 지평선 아래로 내려간다.

금요일에 먼저 나오는 천체 중 하나인 금성은 일몰 후 약 90분 후에 진다. 토성은 달이 뜨면 남쪽 하늘 높이 자리 잡고 자정을 지나 서쪽으로 질 때까지 옅은 노란 빛을 낸다.

달이 뜨고 2시간 후에 동쪽에서 떠오른 목성은 16일 일출 후에 진다. ​화성은 동쪽에서 자정 직전에 떠오른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억만장자 남친 필요 없다”…노출 없이 1000억 번 21세
  • “만지긴 했는데 발기부전이라”…1~2세 여아 성 학대한 60
  • “중국인이 안심하고 성매매하는 일본”…日 총리 지적에 네티즌
  • “UAE에 자리 뺏기나”…인도네시아 언론 “KF-21 사업서
  • (영상) 간만 쏙 빼먹었다…범고래, 최강 포식자 백상아리 사
  • “카바예바 없을 때 불렀다”…푸틴, 17세 모델과 ‘비밀 접
  • 트럼프 韓 핵잠 건조 승인에…美 유력 군사 매체 “사실상 개
  • “땀에 젖고 횡설수설”…트럼프 ‘60분’ 인터뷰 후 건강 이
  • 하루 만에 말 바꾼 미국?…“한국, 반도체·농산물 완전 개방
  • 트럼프, 결국 심판당했다…‘선거 완패’ 이후 내놓은 해명 보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