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핵잼 사이언스] 인류의 조상 위협했던 거대 난쟁이 악어 화석 발견

작성 2022.06.28 09:41 ㅣ 수정 2022.07.04 11:02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거대 난쟁이 악어의 화석 및 인간, 현생 난쟁이 악어와의 크기 비교. 사진=Christopher Brochu, University of Iowa
최근 과학자들이 인류의 오랜 조상과 함께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 난쟁이 악어'(giant dwarf crocodile) 화석을 발견했다. 거대 난쟁이 악어는 서로 모순된 단어 같지만, 사실 정확한 명칭이다. 몸집은 현재의 중대형 악어와 비슷한 신종 악어이기 때문이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 연구팀이 케냐에서 발견한 신종 악어 화석은 사실 두 종으로 각각 '킨양 마보코엔시스'(Kinyang mabokoensis)와 '킨양 트체르노비'(Kinyang tchernovi)라고 명명됐다. 현재의 난쟁이 악어가 대부분 몸길이 1.5m 정도의 소형 종인 것과 달리 거대 난쟁이 악어는 3.6m 길이의 중대형 악어였다.

이 정도 크기 악어는 현재에도 최상위 포식자에 속하지만, 이들이 살았던 1500~1800만 년 전 아프리카 동부에서는 적수가 없는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였다. 현재 대부분의 악어와 달리 킨양은 물 대신 수풀 속에 숨어 있다가 먹이를 기습했는데, 그것 때문에 강이나 호수, 늪지대에서만 조심하면 되는 다른 악어보다 더 무서운 존재였다. 숲속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크고 강력한 턱으로 공격하면 웬만한 동물은 그날 악어 밥이 될 수밖에 없었다.

공교롭게 이 시기에는 인류와 유인원의 공통 조상도 같은 지역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 인류의 먼 조상들은 아직 작은 영장류로 지상에서는 킨양 같은 대형 악어의 기습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을 더 안전한 나무 위에서 보냈을 것이다.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해 숲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대신 사바나가 형성되자 주로 숲에 숨어 기습하던 거대 난쟁이 악어는 서식지를 잃고 사라지게 된다. 반면 좀 더 안전해진 지상으로 내려온 인류의 조상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두 발로 걷는 호미닌(hominin, 현생 인류와 여러 근연종들)으로의 먼 여행을 시작했다. 거대 난쟁이 악어를 비롯한 고대 생물종의 멸종은 의외로 우리에게 중요한 사건인 셈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추천! 인기기사
  • “포기란 없다”…비트코인 ‘7600억원 어치’ 실수로 버린
  • “나 아직 안죽었다”…보이저 1호 240억㎞ 거리서 ‘통신’
  • 나홀로 사냥…단 2분만에 백상아리 간만 쏙 빼먹는 범고래
  • 美 언론 “KF-21 공중급유 첫 성공, 인상적인 속도로 발
  • 죄수 출신 바그너 용병들, 사면 후 고향 오자마자 또 성범죄
  • 정체불명 ‘금속기둥’ 모노리스, 웨일스 언덕서 발견
  • 노브라로 자녀 학교 간 캐나다 20대 엄마 “교사가 창피”
  • 푸틴, 피눈물 나겠네…“‘1조 160억원 어치’ 러軍 전투기
  • 우크라도 ‘용의 이빨’ 깔며 방어전 돌입…전쟁 장기화 양상
  • “감사하다”…인도서 8명에 집단 강간 당한 女관광객, 얼굴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